
지금 사용하는 텐키리스 키보드에는 오른쪽 알트키가 한영 키 겸용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가끔 리눅스를 새로 설치한 후 한영키로 잡히지 않고 그대로 알트키로 잡혀서 입력기 언어 전환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 우분투를 사용할 때에는 /usr/share/X11/xkb/symbols/altwin 파일을 수정하여 오른쪽 알트키를 한영키로 다시 매핑해주는 방법을 통해 문제를 쉽게 해결했던 기억이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파일은 해당 위치에 그대로 있지만, 내용을 변경하고 재부팅해도 문제가 그대로였다. 시간이 많이 지나서인지, 우분투가 아니라 페도라여서인지 원인은 잘 모르겠다. 대신 이번에 삽질하면서 xkb 설정을 직접 건드리는 방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게 되었고, 설정을 직접 건드리지 않고 아래와 ..
1. Thread의 구현 Thread는 아래와 같이 두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Thread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를 만드는 방법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의 객체를 Thread 클래스의 생성자에 넘기는 방법 이때 run() 메서드를 반드시 오버라이딩하여 Thread가 수행할 작업을 정한다. // 방법 1 class TestThread extends Thread { @Override public void run() { int count = 10; while(count-- > 0) { System.out.println(toString() + ": " + count); } System.out.println(toString() + ": 카운트다운 끝"); } } // 방법 2 class Te..

이 글의 내용은 openSUSE Leap 15.3 x86_64에서 테스트되었습니다.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에서는 여러가지 사정때문에 USB 무선 랜카드로 인터넷에 연결하고 있다. 윈도우에서는 USB를 꽂으면 바로 인식이 되지만, 리눅스에서는 내장랜이 아니어서 그런지 자동으로는 인식이 안된다. 우분투였다면 해결 방법이 인터넷에 많을텐데, 역시 수세는 자료가 별로 없어서 삽질좀 했다. 우선 유선랜을 꼽고 인터넷이 가능한 상태에서 진행한다. 1. OBS 저장소에서 드라이버를 찾아 설치하기 포럼 게시물(https://forums.opensuse.org/showthread.php/556412-Asus-AC53-Nano-USB-Wireless)을 참고했음. 터미널을 열고 아래와 같이 커맨드를 입력한다. > sudo ..

이 글의 내용은 openSUSE Leap 15.3 x86_64에서 테스트되었습니다. 1. printer-driver-brlaser 설치 brlaser(https://github.com/pdewacht/brlaser)은 브라더의 몇몇 레이저 프린터를 지원하는 비공식 드라이버이다. 아치리눅스나 데비안같이 대표적인 배포판을 지원하고, 수세 공식 패키지로도 올라가있다. > sudo zypper install printer-driver-brlaser 2. YaST를 실행해 프린터를 추가 (1) YaST에서 하드웨어 → 프린터를 클릭한다. (2)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3) 상단 '연결 지정'에서 브라더 프린터가 지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하단 '드라이버 찾기 및 할당'에서 'Brother HL-1110 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