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분투에서 한국어 입력기로 많이 사용하는 kime나 nimf는 페도라에서 사용하기 성가시다.
우선 kime는 공식적인 rpm 패키지가 없는 것 같다. nimf는 epel에 패키지가 있는 것 같기는 하지만, 설치한다고 해도 gnome3의 ibus 고집 때문에 다른 입력기를 기본 입력기로 설정하기가 까다롭다.
대신 페도라 위키를 따라서 Fcitx5를 설치하기로 했다. Fcitx5는 서브 패키지 중 입력기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실행시키는 fcitx5-autostart를 제공하여 별다른 설정이 필요없다.
1.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 - 키보드의 입력 소스에서 영어 (미국식)을 제외하고 다 제외한다.
2. 같은 창에서 "키보드 바로 가기 및 사용자 설정"으로 들어가 입력기 전환 관련 단축키를 비활성화한다.
3. 터미널에서 다음 커맨드를 통해 Fcitx5를 설치하고 재부팅한다.
$ sudo dnf install fcitx5 fcitx5-autostart fcitx5-hangul fcitx5-configtool fcitx5-qt fcitx5-qt-module
$ sudo reboot
필요한 언어가 있으면 위키를 참고해서 추가로 더 설치해준다.
참고
1. CentOS 8에서 nimf 설치 https://blog.naver.com/dfnk5516/222074913406
2. Fcitx5 설치 관련 위키 글 https://fedoraproject.org/wiki/I18N/Fcitx5
'컴퓨터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ora] Fractional DPI 설정 (0) | 2024.02.04 |
---|---|
[Fedora] zsh 및 Oh My Zsh 설치, 기본 설정 (0) | 2023.08.14 |
[Fedora] 오른쪽 Alt키를 한영키로 사용하기 (0) | 2023.08.13 |
[openSUSE] openSUSE 15.3에서 아이피타임 A3000UA USB 무선 랜카드 드라이버 설치 (0) | 2021.12.17 |
[openSUSE] openSUSE 15.3에서 Brother HL-1110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 (0) | 2021.12.17 |